단안정방식 555 타이머
짜릿짜릿 전자회로 DIY 2판 실험 16 펄스만들기 단안정점검 555타이머를 팅커캐드에서 서킷을 만들고 시뮬레이션 해보았다. 그런데 책과는 좀 다르게 작동하는 것 같은데... 어디가 잘못된 것인지 전혀 모르겠다. 문과가 전자회로를 취미삼겠다는 마음부터가 잘못된 것인가 ㅋ
555 타이머에 대해서 10% 정도만 이해하겠다는 마음으로 도전. 우선 칩의 핀과 배열을 알아보았다.
전원과 접지만 연결하면 출력이 될까?
오 출력이 된다. 그런데 너무 많은 전류가 흘러서 LED가 터졌다. 터진램프위에 마우스를 가져가 보니 LED 허용전류는 20mA인데 307mA의 전류가 흐른다고 한다. 음.. 그럼 옴의 법칙이었나 그랬던 것 같은데.. LED의 강하전압은 2V 정도였으니까.. 8.54-2=0.02*저항 이었나.. 350옴 저항을 달면 되겠지만 저항중에 350옴은 없다. 350옴보다 작은 저항값을 달면 LED가 손상될 수 있으니 그보다 큰 저항을 달자. 470옴이다.
저항 값의 종류.
https://lotus77.tistory.com/49
아두이노 저항 값 종류
1 10옴 저항 2 22 옴 저항 3 47 옴 저항 4 100 옴 저항 5 150 옴 저항 6 200 옴 저항 7 220 옴 저항 8 270 옴 저항 9 330 옴 저항 10 470 옴 저항 11 510 옴 저항 12 680 옴 저항 13 1K 옴 저항 14 2k 옴 저항 15..
lotus77.tistory.com
그 다음은 뭘 해봐야 하나... 입력핀에(2,4번)에 풀업 저항을 달아주자. 입력핀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연결되지 않은 핀을 부동(floating)핀이라고 부르는데 부동핀은 제 위치를 벗어난 전자기장을 감지할 수도 있고 어떤 시점에 핀에 걸린 전압이 얼마인지 알 수 없다고... 짜릿짜릿 전자회로 책에 나왔지만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다행히 풀업 저항과 풀다운 저항은 아두이노 기초 공부를 하다가 대충 알고 있는 개념 ㅋ 2번 핀과 4번 핀에 풀업저항을 을 해주고 470옴 저항을 LED에 달아주었다.
의문점 1> LED에 470옴을 달아주니 건전지의 전압이 조금 차이가 난다.. 왜 그렇지?
의문점 2> 555타이머는 2번 트리거 핀에 걸린 전압이 전원의 1/3 이하면 활성화 되고, 6번 핀에 걸린 전압이 2/3 이상이면 비활성화 된다고 한다. 맞게 이해한 것인가.. 현재 풀업저항을 걸었기 때문에 2번 트리거 핀에 2/3 이상의 전압이 걸리고 있는것 아닌가?
책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 활성화 핀에 걸리는 양의 전압은 타이머가 무시한다.
- 활성화 핀에서 전압이 줄어들면 타이머를 활성화 시킨다.
- 555타이머는 2번핀에 음전압이 걸리면 활성화 되고 4번 핀에 음전압이 걸리면 초기화 된다.
양전압은 무엇이고 음전압은 무엇인가.. 역시 이해는 가지 않지만.. 의문점은 뒤로 하고.. 뭐 일단 책에 나온대로 하고 있으니깐...
어쨌든 6번 핀에 전압을 걸어주면 LED는 꺼지겠지?
역시 6번 핀에 전압을 걸어주었더니 LED는 꺼졌다. 다음은 다시 활성화 해 보자. 트리거 핀에 전원 전압의 3/1 이하를 걸어주면 된다.
책에서는 20k옴 가변 저항으로 조절하라고 한다. 한번 시도해 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7번 방전핀은 2번핀에 전압의 1/3이상 흐르기 시작하면 방전핀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가변저항에 3v 정도의 전압을 걸어주면 LED가 켜지고, 그 이상을 걸어주면 꺼진다.
11초에 후에 LED가 꺼질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해 보았다. 여기서 마지막 의문점은 책과는 달리 가변저항에 양극선을 연결해 주지 않아도 작동한다. 가변저항에 연결하는 양극선의 역할은 무엇인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