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아두이노에서 led 깜박이기이다. 아래 시뮬레이션을 작동하고 코드를 확인해 보자.
setup() 함수는 아두이노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이자 한 번만 실행되는 함수이다. 주로 프로그램 시작 전에 수행될 환경설정과 초기화에 필요한 코드들이 포함된다.
다음 pinMode() 함수는 디지털 핀의 용도를 설정한다. pinMode(13, OUTPUT) 은 아두이노 13번 핀을 출력용도로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loop() 함수는 setup() 함수가 실행된 후 계속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함수이다. 아두이노가 실행할 수 있는 최대 빠르기로 실행된다.
digitalWrite() 함수는 디지털 핀에 값을 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digitalWrite(13, HIGH) 는 13번 핀에 전류를 흘려보내라는 뜻이다. 반대로 digitalWrite(13, LOW) 는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는다.
delay() 함수는 loop() 함수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시간에 지연을 준다. delay() 함수의 매개변수는 지연 시간으로 밀리 초(millisecond, ms) 단위로 입력하며 delay(1000)은 1초간 지연을 준다.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5 timer 쌍안정 모드 (0) | 2020.01.31 |
---|---|
슬라이드 스위치 사용 (풀다운) (0) | 2020.01.27 |
아두이노 플로팅 현상 (0) | 2020.01.27 |
아두이노 예제 1 (0) | 2020.01.27 |
randomSeed (0) | 2020.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