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10 GCC 컴파일러 gcc 컴파일러로 컴파일 할 때, 실행파일의 이름을 지정해 주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a.out 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파일이 생성된다. 컴파일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실행 파일의 이름을 정할 수 있는 옵션은 -o 이다. gcc [옵션] [실행파일 이름] [컴파일할 파일] EX> gcc -o hello hello.c 또는 EX> gcc hello.c -o hello gcc -o hello hello.c func1.c func2.c -c 옵션을 이용하여 목적파일을 생성(목적파일은 기계어로 저장된다) EX> gcc -c hello.c 목적파일을 생성해 두면 수정된 파일이 있을 때, 모든 파일을 다시 컴파일 할 필요 없이 수정된 파일만 컴파일 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EX> gcc h.. 2020. 8. 18. 시놀로지 마리아DB 외부접속 공유기서 포트포워딩 설정 후 진행 기본포트 3307 시놀로지에서 마리아 DB방화벽 해제 -> 방화벽 활성화 후 규칙편집 포트 –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선택 – 선택 후 마리아DB를 찾아서 체크 후 확인 및 적용 phpMyAdmin 접속 후 사용자를 추가 한다. root는 기본적으로 외부접속이 안되기 때문. 호스트명은 아무데서나 접속 -> (%) 자세한 참고는 여기서 https://redapply.tistory.com/entry/Synology-%EC%97%90%EC%84%9C-MariaDB-%EC%84%9C%EB%B2%84-%EC%84%A4%EC%B9%98-%ED%95%9C%EB%B2%88%EC%97%90-%EB%81%9D%EA%B9%8C%EC%A7%80-%ED%95%98%EA%B8%B0 2020. 1. 27. 라즈비안 크롬 설치 라즈비안 운영체제에서는 크롬이 아니라 크로미움이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chromium-browser 만약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면 $ apt-get update & $ apt-get upgrade를 하고 나서 설치. 먼저 update 및 upgrade를 해도 된다. 2020. 1. 13. 라즈비안 한글 깨짐 현상 해결 크로미움 등을 설치 후 한글 깨짐 현상이 발생한다면 아래 명령어로 해결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재부팅. 최신 라즈비안 버전에서는 위 명령어로 설치가 된다. 만약 위 명령어로 설치가 안된다면 $ sudo apt-get install ttr-unfonts-core 로 설치후 재부팅 한다. 라즈비안 왼쪽 상단에 Menu를 클릭 후 Preferences 항목에서 Raspberry Pi Configuration을 선택. Localisation 선택. Set Locale Language: ko (Korean) Country: KR (Republic of Korea) Character Set: UTF-8 Set Timezone Area: Asia Loc.. 2020. 1. 13. 라즈비안 버전 확인하기 커널 버전 확인하기 uname -a 운영 체제 확인하기 cat /etc/os-release 배포판 릴리즈 날짜 확인하기 cat /etc/rpi-issue 2020. 1. 13. Database 접속 문제 워드프레스에서 phpmyadmin에 접속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고, 그 테이블에 접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테이블 접두어도 제대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예를 들어 포스트의 갯수를 가져올 때 아래와 같이 한다. global $wpdb; $user_count = $wpdb->get_var( “SELECT COUNT(*) FROM $wpdb->posts” ); 그런데 새로 test테이블을 만들었을 때 위와 같이 하면 접근이 안된다.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global $wpdb; $test_count = $wpdb->get_var( “SELECT COUNT(*) FROM {$wpdb->prefix}test” ); $wpdb->prefix 와 $wpdb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이렇게도 접속할 수 있다. .. 2019. 12. 29. insert할 때의 auto_increment값 알아내기 query를 사용하다보면 insert할 때의 auto_increment 값이 필요할 때가 있다. 아래처럼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밑줄 친 table_name에 해당 테이블명을 써주면 된다. “SELECT AUTO_INCREMENT FROM information_schema.tables WHERE table_name = ‘table_name‘ AND table_schema = DATABASE();” 또는 아래링크를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5821532/get-current-auto-increment-value-for-any-table 2019. 12. 29. 라즈베리파이 putty 원격 접속 라즈베리파이 putty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ssh를 활성화 시켜줘야 한다. 먼저 sudo raspi-config로 환경 설정창을 열어준다. 5번 Interfacing Options을 선택 후 P2 SSH를 다시 선택. 그 후 enable 시켜주고 yes를 누른다. (환경에 따라서 7번 Advanced Options에서 ssh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기본 포트로 22번을 사용하는데 변경하지 않으면 좀 찜찜하다. 실제 중국쪽에서 ssh 접속을 시도하기도 한다. 크게 상관은 없으나 괜히 신경쓰이니 포트번호를 변경하기로 한다. 2가지 파일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sudo nano /etc/ssh/sshd_config라고 입력 후 #Port 22라고 입력된 부분을 찾아 원하고자 하는 포트로 바꾸어.. 2019. 12. 29. 라즈베리파이 CPU 사용율과 온도 라즈베리파이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vcgencmd measure_temp 라즈베리파이의 온도와 cpu사용율를 외부에서 좀 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우선 깃 허브에서 설치 파일을 가져와야 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davidsblog/rCPU 혹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sudo apt-get install git-core 깃허브에서 가져온걸 설치한다. cd rCPU/rCPU/ sudo make install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해 포트 8111을 포트 포워딩 해준다. 다음 자신의 웹주소나 공인아이피:8111번을 해주면 아래처럼 표시된다. 2019. 12. 29. NAS Flask 사용을 위한 라즈베리파이 서버 현재 NAS에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NAS에서 flask도 사용해 보고 싶어 수차례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라즈베리파이에 flask를 설치해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문제는 80포트를 NAS에 포트포워딩 해주었기 때문에 80포트가 NAS의 Apache로 흘러 들어간다는 것이다. 가상호스트와 ReverseProxy를 이용하여 NAS에서 라즈베리파이의 Apache서버를 접속하고자 하였으나, 이것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 라즈베리파이를 메인으로 잡고 80포트를 포트포워딩 해 준후 가상호스트와 ReverseProxy를 이용하여 NAS의 Apache로 접속하였더니 워드프레스도 잘 되고, 라즈베리파이의 아파치도 접속 할 수 있었다. 우선 라즈베리파이의 httpd.conf파일.. 2019. 12.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