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6 유튜브 권장 해상도 유튜브(YouTube)의 데스크톱용 화면 비율은 16:9이며 이 비율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크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사람의 눈이 가장 편하게 느끼는 비율이라고 한다. 유튜브에서 제시하는 권장 해상도 2160p 3840 x 2160 1440p 2560 x 1440 1080p 1920 x 1080 720p 1280 x 720 480p 854 x 480 360p 640 x 360 4:3 비율로 제작을 하면 영상 좌우에 검은색 부분이 생기게 된다. 2020. 1. 1. 프리미어 프로 단축키 Current Time Indicator: 편집 위치의 시간을 표시, 프레임을 확인하거나 탐색할 때 사용. Shift키를 누른채로 이동하면 클립의 In점이나 Out점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 재생: 타임라인뿐만 아니라 소스 패널 등 재생할 수 있는 패널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이다. spacebar로 재생할 수도 있다. 뒤로 재생 : J 정지 : K 재생 : L 빠르게 뒤로 재생 : J 반복 빠르게 재생 : L 반복 느리게 뒤로 재생 : Shift + J 느리게 재생 : Shift + L Ctrl+K: 인디케이터를 기준으로 영상을 자른다. Ctrl+X: 영상 컷. Insert: [,] 프로젝트 창에서 영상을 선택후 [,]키를 눌러 타임라인에 배치. Alt+Backspace: 클립을 자른 후.. 2020. 1. 1. M2-05 태핑 1종 나사 활용 모델링 https://youtu.be/B1qap71N9l0 2019. 12. 31. Database 접속 문제 워드프레스에서 phpmyadmin에 접속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고, 그 테이블에 접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테이블 접두어도 제대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예를 들어 포스트의 갯수를 가져올 때 아래와 같이 한다. global $wpdb; $user_count = $wpdb->get_var( “SELECT COUNT(*) FROM $wpdb->posts” ); 그런데 새로 test테이블을 만들었을 때 위와 같이 하면 접근이 안된다.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global $wpdb; $test_count = $wpdb->get_var( “SELECT COUNT(*) FROM {$wpdb->prefix}test” ); $wpdb->prefix 와 $wpdb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이렇게도 접속할 수 있다. .. 2019. 12. 29. insert할 때의 auto_increment값 알아내기 query를 사용하다보면 insert할 때의 auto_increment 값이 필요할 때가 있다. 아래처럼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밑줄 친 table_name에 해당 테이블명을 써주면 된다. “SELECT AUTO_INCREMENT FROM information_schema.tables WHERE table_name = ‘table_name‘ AND table_schema = DATABASE();” 또는 아래링크를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5821532/get-current-auto-increment-value-for-any-table 2019. 12. 29. 라즈베리파이 putty 원격 접속 라즈베리파이 putty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ssh를 활성화 시켜줘야 한다. 먼저 sudo raspi-config로 환경 설정창을 열어준다. 5번 Interfacing Options을 선택 후 P2 SSH를 다시 선택. 그 후 enable 시켜주고 yes를 누른다. (환경에 따라서 7번 Advanced Options에서 ssh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기본 포트로 22번을 사용하는데 변경하지 않으면 좀 찜찜하다. 실제 중국쪽에서 ssh 접속을 시도하기도 한다. 크게 상관은 없으나 괜히 신경쓰이니 포트번호를 변경하기로 한다. 2가지 파일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sudo nano /etc/ssh/sshd_config라고 입력 후 #Port 22라고 입력된 부분을 찾아 원하고자 하는 포트로 바꾸어.. 2019. 12. 29. 라즈베리파이 CPU 사용율과 온도 라즈베리파이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vcgencmd measure_temp 라즈베리파이의 온도와 cpu사용율를 외부에서 좀 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우선 깃 허브에서 설치 파일을 가져와야 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davidsblog/rCPU 혹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sudo apt-get install git-core 깃허브에서 가져온걸 설치한다. cd rCPU/rCPU/ sudo make install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해 포트 8111을 포트 포워딩 해준다. 다음 자신의 웹주소나 공인아이피:8111번을 해주면 아래처럼 표시된다. 2019. 12. 29. NAS Flask 사용을 위한 라즈베리파이 서버 현재 NAS에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NAS에서 flask도 사용해 보고 싶어 수차례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라즈베리파이에 flask를 설치해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문제는 80포트를 NAS에 포트포워딩 해주었기 때문에 80포트가 NAS의 Apache로 흘러 들어간다는 것이다. 가상호스트와 ReverseProxy를 이용하여 NAS에서 라즈베리파이의 Apache서버를 접속하고자 하였으나, 이것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 라즈베리파이를 메인으로 잡고 80포트를 포트포워딩 해 준후 가상호스트와 ReverseProxy를 이용하여 NAS의 Apache로 접속하였더니 워드프레스도 잘 되고, 라즈베리파이의 아파치도 접속 할 수 있었다. 우선 라즈베리파이의 httpd.conf파일.. 2019. 12. 29. 이전 1 2 3 4 5 다음